이미지 영상/Adobe Premiere

01. 프로젝트 생성 + 영상소스 불러오기 + 영상싱크 맞추기+영상좌우반전

ppsd 2025. 4. 6. 11:50
반응형

1.

프로젝트 폴더와 프로젝트명 만들기 (한 폴더에 한 프로젝트를 하는게 나을 듯)

 

 

 

 

 

 

 

2.

타임라인 내에 시퀀스 만들기

참고 : 유투브용 드럼영상이다. 1080에 30프래임 정도면 되는 영상.
타임라인 시퀀스가 만들어 졌다.
프리뷰 화면을 50% 로 선택. (그냥 프리뷰에서 보기를 50% 로 줄인것으로 영상을 줄이는 것은 아니다)

 

 

원본을 비디오 / 오디오 폴더를 프로젝트 폴더 내에 만들어서 보관해 두는 습관

 - 한번만 편집하고 말것도 아니고, 수정할 일이 있을 수 있으니까.

 

 

 

 

3.

Import 로 원본 소스 불러오기

이 다음 다이얼로그 박스에서 비됴 원본 소스를 선택하자 그러면,
이렇게 비됴가 불러와 졌다. 또는 여러개 라면 다중으로 불러오자. 아래 화면처럼.
목록 보기로 변환해서 봐도 되고...

 

 

 

 

 

4.

타임라인에 비디오나 오디오 끌어다 놓기

끌어서 V1 (비디오쪽) 에 놓으면, 화면처럼 위에는 비디오 아래는 오디오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타임라인의 커서를 (진행바) 영상쪽으로 옮기면 위에 프리뷰 화면에 내용이 보인다.
나머지들도 위에다 쌓아 올린다. 그러 준비됨. 컴터의 팬이 마구 돌게 된다. 휴웅 ~
프리뷰 모니터 우측 아래에 1/2 라고 된 (재생 해상도 선택) 을 1/4 로 하면 덜 버벅 거림.

 

 

혹시 영상 드래그로 올릴때, Clip Mismatch Warning 라는 메시지가 뜨면,

 Keep 으론 선택 된 버튼 그대로 한다.

프래임이나 등등 것이 내가 프로젝트 처음에 설정한 것과 좀 다른 소스이다.

뭐 그런건데, 그냥 영상 원본 소스 메타대로 가면 된다.

 

 

화면 보기 팁들 :

1. 타임라인에 마우스가 위치 한채로 alt + 마우스휠 을 돌리면 전체적인 타임라인의 길이가 줄거나 늘어난다 (당연, 눈으로 보는 것이 말임)

 

2. 타임라인 내의 비디오 오디오 소스막대기를 클릭 후 alt + 좌우 화살표를 사용면 소스막대의 좌우가 1프래임씩 미세하게 움직임.

 

3. 타임라인 자체의 좌에서 우로 편하게 이동하려면 마우스 드래그질을 하면 좌우로 이동된다.

 

 

 

 

 

 

5.

오디오 소스막대를 참고로 각기 다른 동시에 녹화된 것을 맞춘다.

 ** 현재 예제의 소스는 5개의 카메라로 동시에 녹화하여, 찍은 것으로 5개 모두 싱크를 맞출 필요가 있다.

오디오의 모양을 보고 맞추면 간다. 알트+좌우이동키나 / 마우스로 맞추면 된다.

 

 

 

 

 

 

6.

큐베이스로 녹음한 wav 파일을 타임라인에 추가하기

역시나 import 하고서, 드래그드롭으로 타임라인에 놓은 wav 파일

 

 

 

 

프로젝트 란에 폴더 만들어 정리

폴더를 만들어 원본소스를 정리하기 위해서

 

새 저장소는 프로젝트 내의 가상 폴더일 뿐이다.

폴더만들고 드래그 넣기 후 정리된 모습

 

 비디오 클립에 썸네일 보이게 하기.

미리 보기 영역을 클릭하면 왼쪽 위에 썸네일이 나오고, 아래의 목록에서 파일을 선택하면 위에 표시된다

 

그리고 타임라인 비디오 클립 부분에 저렇게 앞에 무엇인지 알수 잇게, 썸네일 나온다. 귿~~

 

 

영상클립 화면 좌우 반전 하기

프리뷰 화면을 더블클릭 하면 화면 테두리에 점이 생긴다. 커서를 가져다 대면 회전할 수 있게 커서도 바뀐다.
여기서 수치로 넣어줘서 화면을 회전할 수도 있다.

 

 

이건 회전이고,

좌우반전은

아래 클립을 두번 클릭하고,
뒤집기 검색하면 두개 나온다. 하고 싶은거 하면 된다.

두번 클릭하면 화면이 반전 된다 ~

 

 

 

 

 

 

 

 

 

 

 

 

 

 

 

 

 

 

 

 

 

 

 

 

 

 

 

 

 

 

 

 

 

 

 

 

 

 

 

 

 

 

 

 

 

 

 

 

 

 

 

 

 

 

 

 

반응형